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지구의 존재를 아는 외계행성, 달 크기의 항성 발견

by 개츠비안 2023. 2. 20.
반응형

우주에서 태양이 떠오르고 있는 사진
우주에서 바라보는, 지구의 일출 장면

1. 지구의 존재를 아는 외계행성

인류가 태양계 밖의 행성을 처음 찾아낸 이래 4,400여 개가 넘는 외계행성을 발견했습니다. 주로 행성이 별 앞을 지나는 이른바 '천체면 통과' 때 별빛이 줄어드는 것을 보고 외계행성을 찾아내는데, 인류와 비슷한 수준의 천문관측 기술을 가진 외계문명이 있다면 태양계 내에서도 '창백한 푸른 점'으로만 보이는 지구와 생명체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행성은 과연 몇 개나 될까라는 물음에 대해 미국 코넬대학 칼 세이건 연구소 소장이자 천문학교수인 리사 칼테네거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이 답을 내놓았습니다. 과학 저널 '네이처'와 코넬대학에 따르면 연구팀은 지구로부터 326광년 이내에 있는 '가까운' 별 중 이론적으로 지구를 찾아낼 수 있는 항성이 2,034개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이 중 1,715개는 인류가 문명을 꽃피운 지난 5천 년 사이에 천체면 통과 방식으로 지구를 포착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으며, 나머지 319개는 앞으로 5천 년 사이에 이 영역에 추가로 들어설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연구팀은 이 항성 중 7개는 이미 외계행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상태라면서, 이 행성들에 인류에 필적하는 관측 기술을 가진 외계문명이 있다면 지구의 존재는 물론 생명체가 살고 있다는 것도 알아냈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연구팀은 우리 은하의 별 지도를 작성해 온 유럽우주국(ESA)의 '가이아' 위성 관측 자료를 토대로 1만 년에 걸쳐 어떤 별이 '지구 천체면 통과 관측 영역계(Earth Transit Zone)'에 들어서고 나가는지를 분석했습니다. 지난 2020년 12월에 공개된 가이아 위성의 3차 자료 초기분(eDR3)은 약 18억 개 항성의 정확한 위치와 이동 정보를 담아 과거와 미래의 위치까지 계산해 낼 수 있었습니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과거 5천 년과 미래 5천 년간 지구 천체면 통과 관측 영역에 들어서는 항성 2,034개 중 117개가 인류의 전파가 도달할 수 있는 100광년에 있으며, 이 중 75개는 약 100년 전 민간 방송사가 우주로 전파를 송출한 이후에도 이 영역 안에 있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연구팀은 약 11광년 떨어진 처녀자리의 '로스-128' 행성계에 지구의 1.8배에 달하는 외계행성이 적색왜성을 돌고 있는데, 만약 이곳에 외계문명이 존재했다면 3,057년 전부터 2,158년간 지구의 천체면 통과를 관측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이 항성은 그러나 약 900년 전 지구 천체면 통과 영역에서 벗어난 상태입니다. 약 45광년 밖에 있는 트라피스트(Trappist)-1 행성계의 경우 지구 크기의 행성이 7개에 달하고, 4개는 생명체 서식 가능 영역 안에 있는 것으로 관측되었지만 이 행성에서는 외계문명이 있다고 해도 1,632년 뒤에나 지구의 존재를 관측할 수 있는 영역에 들어설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2. 달과 비슷한 크기에 태양 질량의 1.35배인 백색왜성 발견

우주를 채우고 있는 별은 대부분 진화 마지막 단계에서 재만 남은 백색왜성이 됩니다. 약 97%가 이런 좀비 별이 되는데, 가장 작으면서 가장 무거운 백색왜성의 '극단'을 보여주는 별이 새로 발견되어 학계에 보고되었습니다. 하와이 켁 천문대와 외신 등에 따르면 캘리포니아공과대학의 천체물리학자 카이아조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지구에서 약 130광년 떨어진 곳에서 관측된 백색왜성  ZTF J1901+1458에 대한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네이처'에 발표했습니다. 이 백색왜성의 지름은 약 4,272km로 달 3,475km보다 약간 더 큰 정도이지만, 질량은 태양의 무려 1.35배에 달합니다. 지금까지 가장 작은 백색왜성 기론은 지름약 4,960km의 RE J0317-853과 WD 1832+089가 갖고 있었습니다. 우주에서 이보다 밀도가 더 높은 천체는 태양의 10배 이상 질량을 가진 항성이 초신성으로 폭발한 뒤 형성하는 블랙홀과 중성자별밖에 없습니다. 백색왜성은 태양 질량 8배를 넘지 못하는 항성이 맞는 마지막 형태입니다. 태양도 약 50억 년 뒤에는 적색거성으로 부풀어 올랐다가 표면을 모두 날려버리고 작은 백색왜성으로 생을 마감하게 됩니다. 태양계는 항성이 태양 하나지만 우주에는 동반성 즉 짝별을 가진 항성계가 더 일반적이며 이런 항성들은 백색왜성이 된 뒤 서로 다가서며 에너지를 잃고 하나가 됩니다. 이 과정에서 충분히 질량이 확보되면 이른반 'Ia형 초신성'으로 폭발하고, 이 질량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면 이전 백색왜성보다 더 큰 질량을 가진 새로운 백색왜성이 됩니다. 연구팀은 ZTF J1901+1458이 후자의 경로를 밟아 극단적 백색왜성이 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백색왜성의 합체 과정에서 자기장이 더 강력해지고 자전주기도 더 빨라지는데 ZTF J1901+1458의 자전주기는 7일이며, 자기장은 지구의 10억 배에 달하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지금까지 관측된 백색왜성 중 자전주기가 가장 빠른 것은 EPIC228939929로 5.3분마다 한 바퀴 돌고 있습니다. 연구팀은 ZTF J1901+1458이 중성자별로 진화하기에 충분한 질량과 밀도를 가져 중심 내에서 원재핵 내 양성자가 전자를 포획해 중성자를 형성하면서 심이 붕괴에 중성자별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중성자별은 대형 별이 초신성 폭발을 거쳐 형성하는 것으로만 알려져 있었는데, 연구팀의 이런 추정이 맞다면 폭발 없이 중성자별이 만들어지는 새로운 경로가 확인되는 것이며, 우주에 이렇게 형성되는 중성자별이 많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지적되었습니다. 

반응형

댓글